
회사 생활이 버거워질 때 나침반으로 삼기 좋은 책을 발견했다.
인상 깊은 내용이 많았는데 두고두고 기억할만한 내용을 추려서 블로그에 기록해보고자 한다.
1. 평범한 사람이 성공하는 비법
- 꾸준함 : 보통 사람의 성공 비결은 나이가 먹어도 꾸준히 실행하는 것이다. 많이 쓰고 많이 시도하는 것이다. 양에서 질이 나온다. p35
- 한분야 파기 : 세상의 획을 긋는 성취는 알량한 '머리'와 '효율'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우직한 '엉덩이'에서 나온다. 특정 분야에 대한 강렬한 관심, 강한 흥미, 인내와 끈기에서 나온다. 우직하고 호기심 있는 이들의 꾸준하고 피땀어린 노력에 의해 세상은 바뀐다. p85
- 태도 : 어떤 사람은 비범한 일도 평범하게 만드는데, 어떤 사람은 평범한 일도 비범하게 만든다. 일 자체가 평범하거나 비범하다고 여겨서는 안 된다. 일하는 태도가 평범과 비범을 나눈다. 평범한 일을 비범하게 만드는 것은 남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가치를 높인다. 또한 그런 사람은 절대 그 일만 계속하지 않는다. 더 큰일을 하게 되며, 그렇게 일하는 것이 몸에 익어 더 큰일을 맡거나 자기 사업을 해도 역시 비범하게 한다. p50
- 자신만의 영역 만들기 : 주위에 나보다 잘하는 사람이 많다면. 꾸준함을 잃지 않고 일단 현재 영역에서 어느 정도 수준까지 도달할 것, 또 하나는 현재의 영역을 하고 싶거나 다른 잘 하는 영역과 융합해 볼 것을 이야기한다. 이미 방법론과 룰이 세팅이 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경험과 실력이 더 많은 사람이 항상 또는 거의 이기게 되어있다. 기존의 게임의 룰을 따르기보다는 자신의 영역을 만드는 것이 나을 것이다. 자신이 적당히 하는 것들을 융합할 수도 있다. (p77) '나보다 잘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요' 이건 가장 나쁜 핑계 중 하나다. 자신만의 독특함을 찾는게 더 중요하다.
- 유연하게 변화에 대응하기 : "가장 똑똑한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이해를 수정한다. 그들은 이미 해결했던 문제들에 대해서도 다시 고려해본다. 그들은 기존 사고에 대항하는 새로운 관점, 정보, 생각, 모순, 도전 등에 대해 열려있다. 자신의 예전 생각이 잘못되었다면 언제든 바꾼다." 즉, 가장 똑똑한 사람은 더 나은 의견이나 정보가 나타났을 때 예전 생각과 행동을 바꾸는 사람이다. 그렇기에 IQ가 좋고 좋은 학벌과 스펙을 쌓은 사람이 아니라 '용기 있는 사람'이다. 어중간하게 똑똑한 사람은 후회를 하고 평론을 하지만, 진짜 똑똑한 사람은 사과를 하고 변화를 만든다.
2. 커리어
- 커리어의 80%는 예기치 않은 우연으로 결정된다. 하지만 준비해야 잡게 되고, 항상 고민을 해놔야 원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계획된 우연"임
- 실력이란 콘텐츠에만 있지 않다. 보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p69
-축적 후 발산
- 성과나 똑똑함, 전문성이 유일한 특기는 아니다. 전문성이나 성과만이 실력은 아니다.
3. 회사 생활 & 사회 생활 노하우
- 리더가 에너지를 너무 많이 쓰는 대상이 안되는 게 좋다. p47
- 전략적 무능: 바쁜 사람은 항상 바쁘다. 매사 최선을 다하지 말라. 최선은 다할 가치가 있는 일에만 다하자! 모든 것은 다 동일하게 중요하지 않다. 내가 할 일은 내가 빠르게 하고 남의 일을 대신 고민하지 말자. (p54) 모든 것에 유능하려고 애쓸 필요가 없다. (p98)
- 여유 : 일주일에 하루 정도는 눈앞의 일에서 벗어나 소소함을 누리거나 조금 먼 시각, 장기적인 시각에서 자신의 일과 삶을 돌이켜볼 필요도 있다. 의외로 쉬거나 주제 없이 대화하는 것을 불안해하고 죄책감을 느끼는 분들을 주변에서 종종 본다. 가끔씩은 그동안 집중했던 것에서 떠나 에너지를 축적하고 일상의 소소함, 자연이나 큰 관점에 에너지를 써보자. p67
- 좋은 사람으로 보이는 것과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서로 부딪치는 게 아니다. 남을 존중하면서도 얼마든지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 겸손이란 야심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겸손하지만 야심도 가질 수 있다. p83
-그리 안 똑똑해도 엄청 똑똑하게 보이는 비결은? 묻는 질문에 간략히 핵심만 대답하기. 이렇게 하려면 항상 생각을 요약하고 구조화해야 한다.
- 상사에게 직언하는 방법, 상대의 이익을 섞어서 해야 한다.
-피드백이 바꿀 수 없는 과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면 피드포워드는 바꿀 수 있는 미래에 에너지를 집중하는 것이다. 자신의 과거 잘못이나 문제를 들추지 않고도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정보와 통찰을 얻을 수 있다.
- 환경이 사람을 만드는 게 아니다. 환경은 그가 어떤 사람인지 드러낼 뿐이다. 그러므로 인생에서 벌어지는 일들, 즉 환경에 어떤 책임을 돌릴 수 없다. 어떻게 사는가는 온전히 '자신의 책임'이다.
4. 멘탈 관리
- 자신의 약점과 트라우마를 다루는 법.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무의식에서 의식의 영역으로 가져온다는 것이다. 의식의 영역으로 가져오면 다룰 수 있다 .시간이 걸릴 수는 있지만 해결 가능하다. 약점을 안다면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당당하게 드러내고 도움을 구하는 것이다.
- 스트레스 :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보다, 스트레스가 자신에게 큰 피해를 준다고 믿는 사람이 스트레스 때문에 병 걸리고 죽는 확률이 높다. 스트레스에 대한 자신의 태도가 중요. 통제력을 갖는 것이 중요.
-과제의 분리 : 나에 대해 어떻게 생가갛는지는 그의 일이지 나의 일이 아니다. 그러니 그가 어떻게 나를 생각하고 대하는가에 따라 내 감정이 흔들리는가 아닌가는 나의 과제이다. 벌어진 사건을 자신의 마음에서 극단적으로 확대 해석하지 않고, 사건과 해석을 분리해서 사건을 쿨하게 받아들이는 연습을 해야 한다.
- 스스로 의도한 행동을 함으로써 행복을 느낀다. 중요한 것은 행동한 결과가 성공일 때 행복한 것이 아니라 원하는 행동 자체를 한 것이 행복을 결정한다고 한다. 성공해야 행복한 것은 아니다.
5. 자기개발
- 가장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길은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그냥 있는 그대로 모습을 드러내어 피드백을 받거나 진단, 도움을 받는 것이다. p39
- 우리는 너무 필사적으로 '열심'이고 '비장'했다. 기계처럼 훈련받고 일하기도 했다. '자율'과 '즐거움'을 별로 배우지 못했다.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하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여지를 더 주어야 한다.
- 뇌는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쓰는데 그것은 '변화가 있는 것'만 저장하고 처리하려 한다는 것이다. 변화가 없는 상황이나 기간은 마치 그것이 우리 인생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지워 버린다. 뇌가 느끼기에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은 변화하는 삶을 사는 것이다. 새로운 곳을 가고, 새로운 도전을 해보는 것이다. 어제와 다른 오늘을 만드는 것이다. 변화가 많은 삶을 살수록 인생은 길어진다. 두뇌에 가해지는 최악의 행동은 '소극적 삶에 만족하며 사는 것.' 익숙한대로 살고, 호기심을 잃은 채 무관심한 태도로 살면 뇌를 약화시킨다고 한다.
흥미로워서 기록
- NASA는 '정량적인 기준이 없다면 받아들이지 않는다. 당신이 신이 아니라면 데이터를 제시하라'는 문화가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정량화하지 못한 의견은 틀린 의견이라고 무시했던 것이 재앙을 가져왔다. 복잡한 상황, 문제를 대하는 가장 좋은 전략은 유연성이다.
- 부란 독립심이다. 원하는 대로 살아가는 힘이다.
- 이 세계는 자신의 인식의 범위만큼 자신에게 존재한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소수몽키의 한권으로 끝내는 미국주식 (0) | 2022.03.08 |
---|---|
[원서] No Rules Rules 규칙없음 (0) | 2022.02.28 |
[책] 재능의 불시착 (0) | 2022.01.31 |
[책] 트렌드 코리아 2022 (0) | 2022.01.09 |
[책]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0) | 2022.01.01 |